우리는 필요에 의해서 건물을 만들고 사용하지만 결과물을 보면, 두 가지 상반된 태도가 있습니다. 연결하는 건축과 단절하는 건축.
왜 단절보다 연결이 더 좋은 건축일까요? 연결하는 건축은 무조건 개방하고 합치는 것일까요?
마이다스캐드가 들려주는 M칼럼!!
조윤희 건축사가 생각하는 좋은 건축이란?
필진. 건축사 조윤희
2021년도 젊은 건축가상 수상
서울시 공공 건축가
구보 건축사 사무소 대표
한국 건축사 / 미국 건축사
01. '문지방 건축' 어떤 건축일까?
02. 건축의 관계 맺기!?
03. 건축의 작은 변화
04. 내 외부의 느슨한 경계
05. 풍경이 주는 즐거움
06. 단지형 개발의 도시적 규모 단절
07. 도시의 생명력
01. '문지방 건축' 어떤 건축일까?
저는 ‘문지방 건축’이라는 말을 자주 사용하곤 합니다. 영어로 Threshold라고 하는데, 한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넘어가는 지점을 의미합니다. 건축설계를 할 때, 중요하게 다루어야 하는 주제와 항목들이 많지만, 그 중에서도 이질적인 재료가 만나는 곳이나, 서로 다른 영역이 만나는 지점, 내외부가 교차되는 곳에 대한 고민이 충분할수록 좋은 건축물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처음 건축설계를 배우기 시작할 때에는 목적이 분명한 공간 예를들면, 주택의 방, 학교의 교실, 교회의 예배당 등- 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것 같습니다. 시간이 지나 건축설계의 경험의 더 많아질수록, 중요하게 다가오는 곳은 ‘비목적성의 공간’입니다. 집의 현관, 빌딩의 로비, 학교의 복도 등이 그렇습니다.
주요공간을 지원하기 위한 부수적인 공간이라 여겨지기 쉬운 곳들인데, 이런 공간의 특징은 서로 다른 영역들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는데 있습니다. 이 연결공간이 얼마나 편리하고, 적절하게 열려있거나 닫혀있고, 여러겹의 풍부한 공간켜를 가지느냐에 따라 건축물을 이용하는 사람의 공간적 경험이 풍요로워진다고 생각합니다.
02. 건축의 관계 맺기!?
건축설계를 할 때, 중요하게 다루어야 하는 주제와 항목들이 많지만, 그 중에서도 이질적인 재료가 만나는 곳이나, 서로 다른 영역이 만나는 지점, 내외부가 교차되는 곳에 대한 고민이 충분할 수록 좋은 건축물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처음 건축설계를 배우기 시작할 때에는 목적이 분명한 공간 -예를 들면, 주택의 방, 학교의 교실, 교회의 예배당 등- 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것 같습니다.
시간이 지나 건축설계의 경험의 더 많아질수록, 중요하게 다가오는 곳은 ‘비목적성의 공간’입니다. 집의 현관, 빌딩의 로비, 학교의 복도 등이 그렇습니다. 주요공간을 지원하기 위한 부수적인 공간이라 여겨지기 쉬운 곳들인데, 이런 공간의 특징은 서로 다른 영역들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는데 있습니다.
구보건축에서 진행한 성원초등학교 메이커스페이스 리모델링(좌)과 혜화여고 교무실 리모델링(우)
각 프로젝트의 좌픅면(변경후) 과 우측면(변경전)은 교실과 복도가 소통하는 방식의 차이가 드러남
ⓒ 나르실리온(좌), 모스튜디오(우)
이 연결공간이 얼마나 편리하고, 적절하게 열려있거나 닫혀있고, 여러겹의 풍부한 공간켜를 가지느냐에 따라 건축물을 이용하는 사람의 공간적 경험이 풍요로워진다고 생각합니다.
빌라집 리모델링 후면부 변경 전(좌)과 후(우)
ⓒ 구보건축(좌), 텍스처온텍스처(우)